"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국내 농장 구제역 발생… 2년 만에 확인된 사례 국내 농장 구제역 발생… 2년 만에 확인된 사례

뉴스리뷰

국내 농장 구제역 발생… 2년 만에 확인된 사례

goodrichone 2025. 3. 14. 19:11
반응형


전남 영암 한우 농가에서 구제역 발생

 

국내 농장에서 2년 만에 구제역이 발생했다.

  • 발생 지역: 전남 영암군 한우 농가
  • 발생일: 2025년 3월 14일
  • 확인 기관: 구제역 중앙사고수습본부

이번 구제역 발생은 2023년 5월 이후 1년 10개월 만으로, 전남 지역에서는 23년 만에 첫 발생한 사례다.

구제역은 소·돼지·양 등 우제류(발굽이 둘로 갈라진 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고위험성 가축 질병으로, 감염 시 확산 속도가 빠르고 축산업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해당 농장 긴급 조치 및 정부 대응

 

  • 농장 규모: 한우 180여 마리 사육 중
  • 출입 통제: 농장 폐쇄 및 이동 제한 조치
  • 살처분 결정: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전 두수를 살처분할 예정

구제역 중앙사고수습본부는 해당 농장에서 역학조사를 진행 중이며, 추가 감염 사례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또한 빠른 대응을 통해 국내 축산업의 안전을 보장하고 추가 확산을 차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제역 발생의 영향과 추가 방역 대책

 

축산업 타격 우려: 구제역 발생은 국내 가축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속한 방역이 필수적이다.
역학조사 진행: 전남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주요 농가를 대상으로 구제역 감염 여부를 조사할 예정이다.
백신 접종 확대: 추가적인 감염 예방을 위해 전국 주요 축산 농가에 구제역 백신 접종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동 제한 조치: 감염 농가 반경 10km 내 이동제한 조치를 적용하고, 추가 확산 여부를 모니터링한다.


신속한 대응과 방역 강화 필요

 

국내 축산업 보호를 위해 정부와 지자체, 축산업 종사자들이 긴밀한 협력과 철저한 방역 조치를 진행해야 할 시점이다.

전남 영암군을 중심으로 구제역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며, 정부는 추가적인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백신 접종과 방역 조치를 강화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