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10

레버리지·곱버스에 동시 베팅한... 용감한 개미들..

추석 이후 개인투자자, 상승·하락 모두에 공격적 투자 확대추석 이후 개인 투자자들이 증시 상승과 하락에 동시에 베팅하며 ‘레버리지’와 ‘곱버스’ 거래가 급증했다.KODEX 레버리지 거래대금은 36% 증가, 곱버스는 26% 늘며 양방향 투자가 동시 확산 중이다.레버리지·인버스 투자 심리 변화와 향후 시장 리스크를 분석했다.1. 개인투자자, 양방향 투자 급증2025년 10월 들어 개인 투자자들이**증시 상승(레버리지)**과 하락(곱버스) 양쪽에 모두 베팅하는 이른바‘양방향 투자’ 움직임이 뚜렷하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KODEX 레버리지 거래대금은 10월 10일~16일 사이4조 4600억원으로 추석 직전(3조 2720억원) 대비 36.3%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KODEX 200선물인버스..

경제 2025.10.16

“14.7억에 계약했는데 대출은 4억만?” 10·15 대책 이후, KB시세 기준 혼선 확산

정부의 10·15 대책 이후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실거래가가 아닌 KB시세를 기준으로 산정되면서 혼란이 커지고 있다.14.7억에 계약했지만 KB시세가 15억을 넘으면 대출한도는 6억이 아닌 4억으로 줄어든다. 집값 구간별 대출 기준과 실제 영향, 주의할 점을 정리했다. 1. 10·15 대책 이후, 무엇이 달라졌나2025년 10월 16일부터 시행된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은수도권 아파트의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주택가격 구간별로 차등 적용하도록 바꾸었습니다.기존에는 수도권 내 대부분의 주택이 **최대 6억원까지 주담대(주택담보대출)**를 받을 수 있었지만,이번 대책 이후부터는 아래와 같이 구간별 한도가 나뉩니다.주택 시세 구간주담대 최대 한도15억원 이하6억원15억원 초과 ~ 25억원 이..

경제 2025.10.16

“상생페이백 신청해볼까?”

한 달 만에 1058만명 몰려…415만명 평균 5만원씩 받아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처음 시행한 ‘상생페이백’ 제도에 한 달 만에 1058만명이 신청했다.평균 5만원 이상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받았으며, 소비 진작 효과는 약 1조2천억원 규모로 추정된다.신청 방법과 환급 조건, 일정까지 한눈에 정리했다.1. 상생페이백 제도란?상생페이백은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부터 새롭게 도입한 소비 진작형 환급 제도입니다.핵심 구조는 간단합니다.“작년보다 올해 카드 사용이 늘어난 만큼의 20%를 정부가 온누리상품권으로 돌려준다.” 즉, 전년도보다 소비를 더 많이 한 사람에게 소비 증가분의 일부(20%)를 현금성 혜택으로 환급하는 방식입니다.백화점·대형마트·아웃렛·온라인몰 등 대형 유통채널을 제외한소상공인 매장, ..

생활정보 2025.10.16

UBS, 삼성전자 투자의견 ‘매수’로 상향

목표주가 11만2천원 제시…“메모리 가격 상승 아직 반영 안됐다”UBS가 삼성전자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하고 목표주가를 11만2000원으로 올렸다.글로벌 메모리 공급 부족과 HBM 수요 확대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평가다.삼성전자 주가는 실적과 주주환원 기대 속에 최고가를 경신 중이다.1. UBS, 3개월 만에 삼성전자 투자의견 ‘매수’로 복귀글로벌 투자은행 UBS가 3개월 만에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Neutral)’에서 ‘매수(Buy)’로 상향했다.UBS는 올해 7월 아시아 테크 업종 리스트에서 삼성전자를 제외하며 “단기 모멘텀이 부족하다”고 평가했지만,이제는 “메모리 산업이 공급 부족 국면으로 진입했다”며 입장을 180도 바꿨다. 이번 상향은 삼성전자의 메모리 반도체 시장 회..

경제 2025.10.16

“삼성전자 어닝 서프라이즈에 초고수들 움직였다”

수익률 상위 1% 투자자, 삼성전자·두산에너빌리티 집중 매수15일 오후, 수익률 상위 1% ‘초고수 투자자’들이 삼성전자와 두산에너빌리티를 집중 매수했다.삼성전자의 어닝 서프라이즈 실적과 AI 데이터센터 모멘텀에 따른 추격 매수 현상이 두드러졌으며,반면 SK하이닉스·다날 등은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됐다. 1. 초고수들이 선택한 종목 TOP 515일 오후 2시 30분 기준, 미래에셋증권의 상위 1% 투자자(일명 ‘초고수’)들은다음 종목을 가장 많이 순매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순위 종목명 투자 성격1삼성전자실적 개선 + 반도체 업황 기대2두산에너빌리티AI 데이터센터 전력 인프라 수혜3한국전력AI 수요 증가로 인한 전력주 강세4심텍반도체 후공정 관련 중소형주5고려아연비철금속 가격 상승 기대 이 중 삼성전자..

뉴스리뷰 2025.10.16

“어지럼증, 그냥 피곤해서?”

사실은 몸이 보내는 경고일지도 모릅니다 – 4가지 주요 원인으로 보는 어지럼증의 정체어지럼증은 단순 피로가 아니라 귀·뇌·심혈관·정신 건강 이상까지 다양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의학적으로 구분되는 4가지 어지럼증 원인(말초성·중추성·심인성·노화성)과 치료·예방 방법을 정리했습니다.1. 어지럼증, 왜 생길까?“세상이 빙빙 돈다”, “다리에 힘이 풀린다”, “정신이 아득하다”이 표현들은 어지럼증을 겪는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입니다.하지만 이 짧은 증상 뒤에는 수십 가지의 질환이 숨어 있습니다.귀의 전정기관 이상, 뇌의 혈류 장애, 심장의 순환 문제,그리고 불안·공황장애 같은 정신적 요인까지 —어지럼증은 몸의 균형 시스템에 생긴 복합적인 경고 신호입니다. 부산의 60대 여성 홍모 씨는 6개월 동안 ..

건강 생활 2025.10.16

규제 방향은 비슷, 속도와 강도는 다른.. “文정부와 李정부 부동산 정책”

이재명 정부가 세 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했다.표면적으로는 문재인 정부와 유사한 규제 중심의 정책이지만,규제의 속도·범위·세금 접근 방식은 분명히 다르다.두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시장에 미칠 영향을 짚어본다.1. 이재명 정부, 세 번째 부동산 대책 발표이재명 정부가 2025년 10월 15일,‘10·15 부동산 대책’을 공개했다.핵심 내용은 규제지역 확대와 대출 규제 강화,즉 수요 억제 중심의 정책이다. 표면적으로는 문재인 정부의 접근 방식과 비슷하다.그러나 정책의 적용 범위와 속도, 그리고 세금 활용 방식은 완전히 다르다.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같은 듯 다른 부동산 정책”이라는 평가가 나온다.2. 文정부 정책과 닮은 점 – ‘규제 중심의 수요억제’문재인 정부는 2017년 5월 출범 이..

뉴스리뷰 2025.10.15

MSCI 한국 지수, 올해 첫 순증 가능성…11월 편입 베팅 시작됐다

HD현대마린솔루션·에이피알 편입 유력, 오리온은 편출 가능성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11월 정기 리밸런싱을 앞두고 한국 지수 편입 종목이 2년 만에 증가할 가능성이 제기됐다.HD현대마린솔루션과 에이피알이 신규 편입 유력 후보로 떠오르며, 패시브 자금 유입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1. MSCI 지수란 무엇인가?**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는 글로벌 자산운용사와 기관투자자들이기준으로 삼는 국제 벤치마크 지수입니다. 전 세계 주식시장을 지역별·산업별로 구분해 구성 종목을 평가하며,특히 **MSCI 한국지수(MSCI Korea Index)**는해외 패시브펀드(ETF, 인덱스펀드 등)가 추종하는 대표 지수입니다. 즉, MSCI에 편입되면 외국인 자금이..

뉴스리뷰 2025.10.15

“겨울에도 네부타 축제의 열기를”..호시노 리조트 아오모리야,

호시노 리조트 아오모리야, 한정 메뉴 ‘네부타 축제 전골’ 선보여호시노 리조트의 아오모리 온천 리조트 ‘아오모리야’가 2025년 겨울 한정 메뉴 ‘네부타 축제 전골’을 공개했다.아오모리 3대 네부타 축제의 열기를 맛으로 표현한 전골 3종과 ‘냄비 코타쓰’ 체험으로 겨울에도 뜨거운 축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1. 아오모리야, 겨울을 뜨겁게 달굴 ‘네부타 축제 전골’ 출시일본 아오모리현의 문화와 축제를 테마로 한 온천 리조트**‘아오모리야 by 호시노 리조트’**가 2025년 12월 3일부터 2026년 2월 28일까지겨울 한정 메뉴 ‘네부타 축제 전골’(Nebuta Festival Hotpot) 을 선보입니다. 이 특별한 전골은 아오모리의 대표 축제인‘아오모리 네부타 축제’, ‘히로사키 네부타 축제’, ..

여행 2025.10.15

건강 때문에 챙겨 먹었는데.. 오히려 해가 된다.? (5가지 오해 식품)

건강식품이라고 믿고 먹지만, 실제로는 과다 섭취 시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음식들이 있다.비건 고기, 인스턴트 오트밀, 과일주스, 단백질 바, 달걀 흰자 등잘못된 건강식습관이 초래하는 문제와 올바른 대안을 전문가 조언과 함께 정리했다. 1. 건강식품의 함정 — ‘좋은 음식’이 항상 건강하진 않다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좋다”는 말에 무심코 따라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건강식품도 ‘섭취 방법과 양’이 잘못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2023년 《네이처(Nature)》에 실린 연구에서도“균형 잡힌 식습관이 수명을 최대 10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고 밝혔지만,이는 ‘무조건 건강식품을 많이 먹는 것’이 아니라‘적절하게, 균형 있게’ 먹는 것이 전제입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착각하기 쉬..

건강 생활 2025.10.15